종합소득세 납부 기한이 지났다면?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복잡한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까요? 종합소득세 납부 기한이 지나 버렸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번에 5월말까지 였던 납부기한이 자동연장 대상이라 9월초까지 납부하면 되었는데 깜박하고 지났쳤지 모에요 ㅠ
납부기한이 지나면 납부불성실가산세가 붙는다는거 아시나요?
기한을 넘긴 종합소득세를 납부할 경우, 벌금과 이자가 부과됩니다. 이 벌금과 이자는 연체 기간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
납부불성실가산세 계산 방법은 [미납부세액 * 3/10,000 * 미납일수]로 계산합니다.
30일을 초과하여 연체된 경우에는 원래 세금에 0.03%의 벌금과 0.05%의 이자가 부과됩니다.
종합소득세 납부 기한이 지났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종합소득세 납부 기한이 지났다면 많은 사람들이 당혹스러워하고 대처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기한이 지난 종합소득세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국세 납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위 사진처럼 신고/납부에 들어가서 세금납부>국세납부>자진납부를 클리해서 들어가세요.
납부서 작성 화면이 뜨면 필수 항목을 선택 및 기입해주세요.
납부구분은 확정분자납, 세목은 부가가치세 또는 법인세 등 해당 세목을 선택(저의 경우, 종합소득세를 선택합니다)해주세요.
사업자등록번호 옆의 [확인]을 누르면 납세자명, 관할 세무서명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와요.
납부기한을 선택한 후, [납부지연가산세 계산해보기]를 눌러서 가산세를 계산해주세요.
계산된 가산세를 더한 총 납부세액을 입력하고 [납부하기]를 눌러주세요.
두번째는, 위택스에서 지방세(국세의 10%납부)를 납부해야 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신고>지방소득세>종합소득분>종합소득분신고 탭으로 들어가셔서
신고서를 다시 작성후에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신고서를 작성한다고해서 까다롭게 느껴질수 있는데 내용은 기 작성된 내용이 전부 불러져와서 크게 할일은 없습니다.
클릭만 하시면 되요~~
납부 지연일수와 가산세가 자동으로 계산되어져 보입니다.
저는 금액이 워낙 소액이라 얼마되지는 않았어요.
금액이 크다면 하루라도 빨리 납부를 하시는게 좋겠죠?? ㅎ
신고서 제출 후 즉시납부 탭을 이용하여 바로 납부했습니다.
세금 연체 시 받을 수 있는 불이익
종합소득세를 연체하면 몇 가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째, 신용도가 하락하여 대출을 받거나 신용카드를 발급받기 어려워집니다.
둘째, 세무서로부터 과태료 부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대기업에서는 세금 연체자로 인한 채용 제한을 둘 수도 있습니다.
납부 기한이 지나기 전의 경고 신호들
종합소득세의 납부 기한이 다가올 때, 몇 가지 경고 신호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첫째, 세금 납부 관련 공지사항이 우편으로 발송되거나 전자세금계산서로 도착할 수 있습니다.
둘째, 세무서에서 전화나 문자 메시지로 연락하여 납부일을 알려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고 신호들을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합소득세 연체 후 택할 수 있는 대처 방법
종합소득세를 연체하였다면 몇 가지 대처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째, 즉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입니다. 벌금과 이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빠른 조치가 필요합니다.
둘째, 세무서에 연락하여 현금으로 일부 금액을 선납하고, 나머지 금액은 분할 납부 혹은 할부로 납부할 수 있도록 협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셋째, 세무조정을 요청하여 세금을 납부하기 어려운 사유를 설명하고 납부일을 연기하는 것도 대안입니다.
앞으로 종합소득세 납부 기한을 지키기 위한 팁
종합소득세 납부 기한을 지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팁을 따를 수 있습니다.
첫째, 세금 계산과 납부 일정을 사전에 체크하여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자동이체나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정해진 기한에 자동으로 세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셋째, 세금 관련 공지사항과 알림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렇게 기한이 지난 종합소득세를 해결하는 방법과 앞으로의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부터는 가산세를 내지 않도록 신고 후 바로 납부해야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시티 서울: 다채로운 축제의 도시 (0) | 2025.03.13 |
---|---|
청년 문화예술패스: 최대 15만 원 관람비 지원 (0) | 2025.03.07 |
2025년 증여세 개편, 이렇게 달라졌다! (0) | 2025.03.07 |
서울시 50플러스 동부캠퍼스: 중장년층의 새로운 희망 (0) | 2025.03.06 |
집수리비지원, 청년월세지원 등 다양한 주거비 지원 정책 (0)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