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시민들이 99세까지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손목닥터9988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스마트워치와 전용 앱을 통해 건강 활동을 독려하며,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 및 혜택
손목닥터9988은 다음과 같은 기능과 혜택을 제공합니다:
- 스마트워치 제공: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걸음 수, 운동 강도, 소비 칼로리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가 제공됩니다. 다만, 2024년부터는 스마트워치가 제공되지 않고, 개인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전용 앱: 손목닥터9988 앱을 통해 건강 리포트, 건강 데이터, 커뮤니티, 전문 상담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적립 시스템: 하루 8,000보 걷기, 건강목표 설정, 식단 입력 등 건강 활동을 실천하면 포인트를 쌓을 수 있으며, 최대 10만 포인트를 제공합니다. 이 포인트는 서울페이로 전환하여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맞춤형 건강 관리: AI 기반의 식단 분석, 운동 처방, 스트레스 관리 등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다양한 이벤트: 건강 활동을 게임처럼 즐길 수 있는 미션과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사용 방법
- 앱 설치 및 계정 등록: 스마트폰에서 손목닥터9988 앱을 다운로드하고, 스마트워치와 연동합니다.
- 데일리 기록: 매일 걸음 수, 심박수, 수면 패턴 등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합니다.
- 포인트 적립 및 사용: 건강 활동을 통해 적립된 포인트는 서울페이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표
서울시는 손목닥터9988을 통해 시민들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로, 국내외에 확산될 계획입니다.
손목닥터9988은 서울시민들에게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건강 관리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프로그램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여해 보세요!
관련 링크:
- 손목닥터9988 공식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공식 웹사이트에서 프로그램 정보 확인 가능)
포인트 적립 방법
- 걷기 활동
- 하루 8,000보 이상 걷거나(70세 이상은 5,000보), 스마트워치를 통해 200kcal 이상 소모하면 200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 주 3일 이상 지속하면 추가 포인트가 제공되며, 4주 연속 달성 시 더 많은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식단 기록
- 하루 두 번 이상 식단을 기록하면 50포인트가 적립됩니다
- 주 3일 이상 기록 시 추가로 150포인트, 이를 4주간 지속하면 300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건강 목표 설정 및 실천
- 자신의 건강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 상황을 체크하면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목표 설정 시 1,000포인트
- 실천 목표 달성 시 50~100포인트가 적립됩니다
- 자신의 건강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 상황을 체크하면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건강 콘텐츠 학습
- 앱에서 제공되는 건강 카드 메시지를 학습하고 문제를 맞히면 매주 100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 출석 체크
- 매일 앱에 접속하여 출석 체크를 하면 10포인트가 적립됩니다기타 활동
- 명상 콘텐츠 청취(회당 30포인트), 홈트레이닝 수행, 몸무게 입력 등 다양한 활동으로 추가 포인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대 적립 가능 포인트
- 건강 활동 및 목표 달성 등을 통해 총 최대 100,000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이는 서울페이머니로 전환해 병원, 약국, 편의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페이 전환 방법
- 적립된 포인트가 5,000포인트 이상일 경우, 손목닥터9988 앱에서 '서울페이머니 전환하기' 메뉴를 통해 전환 신청이 가능합니다
손목닥터9988 앱은 건강 관리를 재미있게 하면서 경제적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꾸준히 참여하여 포인트를 쌓아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금 구매하면 30%할인 (1) | 2025.03.20 |
---|---|
서울어린이대공원 어린이 텃밭 프로그램 모집 안내 (0) | 2025.03.17 |
펀시티 서울: 다채로운 축제의 도시 (0) | 2025.03.13 |
청년 문화예술패스: 최대 15만 원 관람비 지원 (0) | 2025.03.07 |
2025년 증여세 개편, 이렇게 달라졌다! (0) | 2025.03.07 |